
본문
위치 Location |
경기도 용인시 신봉동 SinBongDong,YongIn, GyeongGi |
대지면적 Site area |
554㎡ |
건축면적 Building area |
110.28㎡ |
연면적 Gross floor area |
290.88㎡ |
규모 Stories |
지하1층, 지상3층 B1,3FL |
사진 Photo |
Kim Jong Oh |
전원적 주거단지
용인 광교산 등산로입구의 자연녹지지역에 위치한 이 대지는 주변풍치가 좋은 경사지로서, 산속에 개발된 전용주거단지중의 일부이다.
영구적 자연풍경을 향한 배치선택-북서향의 단점 수반
이 주택의 계획은 거실등의 주요생활공간이 바라다 볼 주방향의 배치선택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결국, 영원히 개발되지 않고 자연녹지로 보존 될 건너편 산을 향한 배치가 선택되어 결정되었으며, 이 매력적인 영구적 자연풍경의 도입이라는 선택은 동시에 북서향이라는 비환경 효율적 문제를 가져다주었고, 우리는 남향과 동향의 태양빛을 실내로 유입하기 위한 고민을 또한 해결해야만 했다.
북서향의 단점해결-남동향 빛을 도입하는 “빛의 유리상자”
유용한 태양광을 유입할 여러개의 “빛의 유리상자”를 실내공간의 여러레벨에 도입하였고, 이 유리상자 속에는 꽃과 과실수를 심어 유리공중정원으로서 기능하게 했으며, 이로써, 풍경의 도입과 계절적 친환경 두가지 조건을 모두 소유하게 되었으며 또한 자연스럽게 모든 방들이 개인적 정원을 가지게 되는 복합적인 해결책에 도달하게 되었다.
역동적 내부공간-부유하는 “빛과 꽃의 유리상자”
3개층 높이로 수직 개방되어있는 거실, 식당등의 주요 공적공간위에 빛을 머금고 떠다니는 여러개의 공중정원인 유리상자들이 만들어내는 비현실적이며, 역동적인 내부공간은 이집의 상징적 인상이 될 것이다.
보랏빛 작은 언덕-조경적 건축-주변풍경과의 동화
주변자연의 형태적 맥락과의 동질적 조화를 의도하며 만들어진, 자연을 건축화한 조경적 공간으로서의 이집이, 마치 보라색의 작은 언덕처럼, 주변맥락속에 스며들어 오랫동안 자연과 공생하기를 기대한다.
This scenic site is a part of the residential area developed in the natural greenery area of the mountain gwanggyo and that is located at the entrance area to trail to mountain.
From agony about the direction to which major living space see, the plan of this house started. After all, the direction to the opposite mountain that will be preserved in the natural green space forever was selected. But this charming selection that introduce the permanent natural landscape brought the problem, bad solar condition, that the major living space is faced to northwest sunlight. And so, we must make the solution to absorb the southern and eastern sunlight into the inside of the house.
"Glass box of light" that will absorb the useful sunlight was introduced to inside space of the various level and these boxes which are planted with flower and fruit are functioned as "Floating glass garden". Actually, we solved the problem and we own both the two conditions that are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naturally, we have been reached to the complex solution that all the rooms have their own garden.
The dynamic, unrealistic interior space which are produced with several floating glass boxes over the major living space that is opened to the vertical height of 3 floors, will be the symbolic impression of this house.
We expect that this landscape architecture will coexist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for a long time, as if a small purple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