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위치 Location |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GwaCheon, GyeongGi |
대지면적 Site area |
883㎡ |
건축면적 Building area |
375.24㎡ |
연면적 Gross floor area |
690㎡ |
규모 Stories |
지하1층, 지상3층 B1,3FL |
자연녹지지역인 우면산도시공원에 접해있는 이 대지는 도심속의 자연이라는, 현대도시인들이 가장 동경하는 욕망인 주거와 휴양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가진 이상적 장소이다.
지극히 불규칙한 다각의 형태를 가진 대지 형태속에서 최대한의 남향정원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축물은 대지 북단의 불규칙한 형태의 경계선을 따라 경계선형태로 배치되게 됨으로서, 다각형의 대지형태 그리고 일조권사선제한의 법적규정들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건축물은 다면체의 비정형 매스가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주변자연환경의 형태적 맥락과 동질적 조화를 구성하려는 조형적 설계의도와 자연스럽게 일치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로써 이집의 외부공간은 원경과 연장된 안마당, 뒷산과 연장된 뒷마당, 지하마당, 휴게마당이 순환하는 외부공간의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작은집무공간과 주택을 서로 분리배치함으로서, 그사이에 발생한 중성적 외부공간은 진입의 과정공간이며 안마당과 뒷마당을 연결하는 소통의 장소로서, 동시에 지붕이 있는 휴게마당으로 기능한다.
실내 주요 공적공간들인 거실, 식당, 브리지 Theater, 주인거실, 홈바, 당구장, 손님거실, 수영장들은 모두 시각적으로 상호소통되며 서로가 서로의 풍경이 되도록 계획되어 있으며, 여기에 더해 넓은 주정원과, 정원과 연장된 원경, 뒷마당과 뒷산등의 자연풍경들과 결합되는 실내외가 복합되어 만들어내는 회화적 풍경은 이 대지의 환경과 건축의 관계가 만들어 주는 대표적인 이집의 공간적 성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우면산이 품어안고있는 이 금속성의 작은 산의 존재는 자연과 건축의 조화로운 공생의 풍경이 될것이다.
As the urban nature, this site which is contact with woomyeon-mountain, urban park as the natural greenery area, is the ideal place that have environment to satisfy residential and recreational purpose which are desired by most urban people.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area of the south-facing garden, in the irregular polygonal shaped site, main building is laid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ite along the irregular boundary line.
After all, the shape of the main mass of this house was to be an irregular polyhedron due to polygonal shape of site and legal code to secure the range to absorb the sun-light, and naturally, this result is equal to the intent of formation to harmonize with the context of the surrounding nature.
From this cause, exterior space of this house is composed of system to circulate, inner court extended to distant view, rear garden extended rear hill, sunken garden, recreational garden, each other.
By separating small office space and housing, each other, the neutral exterior space which occurred in between of them act as an approaching space, the place of penetration through courtyard and backyard each other, and the recreational court covered with roof.
The public major space, living room, dining room, bridge theater, master living, homebar, billiard room, guest living room, swimming pool are planned to be the scene of each other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of view.
In addition to this, the picturesque landscape which drawn by the large main garden, distant landscape extended garden, indoor and outdoor landscape combined with natural scenery of back yard and rear hill is the representative special character of this house that was made b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of site and architecture.
The existence of this small metallic hill which is cherished by Woomyen- mountain will b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nature and architecture.